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파이썬 #
- 파이썬#파이썬경로#파이썬폴더#파이썬디렉토리
- 파이썬 #파이썬프로젝트 #파이썬 예시 #파이썬 파일경로 #파이썬 자동화
- 파이썬 엑셀 파일 읽고 쓰기
- 파이썬 프로젝트
- 스트림 암호 one-time-pad 공격#보안#암호
- QGC#QGrouncControl#GLIB오류
- ROS #Robotics #ROS기초
- 리눅스#모의해킹#리눅스명령어#head 명령어
- 통계 #ROC #TPR #FPR #TNR #이진분류 #Accuracy #Recall
- 파이썬 예시
- 파이썬 열
- 파파고 번역
- 파이썬 채팅
- pdf 번역
- 파이선 행
- 파파고 꿀팁
- 논문번역 꿀팁
- PDF 개행문자
- 크롬오류#크롬검색어자동완성끄기#검색어자동완성오류#검색어자동완성 제거#검색어 노란선#검색어반복입력
- 파이썬#subprocess#communicate()
- 파이썬 파일 전송
- 파이썬 음성파일 텍스트 변환
- 패스트 캠퍼스 #자율주행 #비전
- 리눅스기초#리눅스명령어#리눅스 tail#tail#모의해킹 리눅스
- 파이썬
- 파이썬 음성인식
- 파이썬 유튜브
- 파이썬 텍스트 변환 #파이썬 공부
- ROS #spin() #spinOnce() #ROS기초
개발자비행일지
파이썬 접선기울기, np.products, np.sums, np.differences, np.gradient 본문
배열 원소 간 곱(products), 합(sums), 차분(differences) 범용 함수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배열 원소 간 곱(products), 합(sums), 차분(differences), 기울기(gradient) 범용함수 |
1차원 배열 b와 2차원 배열 c를 가지고 예를 들어 설명한다.
In [1]: import numpy as np
In [2]: b = np.array([1, 2, 3, 4]) # 1 dimension
In [3]: b Out[3]: array([1, 2, 3, 4])
In [4]: c = np.array([[1, 2], [3, 4]]) # 2 dimension
In [5]: c Out[5]: array([[1, 2],
|
(배열 원소 간 곱 범용 함수 (products universal funcstions) : np.prod() |
2차원 배열의 경우 axis=0 이면 같은 열(column)의 위*아래 방향으로 배열 원소 간 곱하며, axis=1 이면 같은 행(row)의 왼쪽*오른쪽 원소 간 곱한다. 즉, axis=0을 주면 열 요소의 product, axis=1이면 행의 product
# (np.prod() : Return the product of array elements over a given axis
# 1 dimensional array In [3]: b Out[3]: array([1, 2, 3, 4])
In [6]: np.prod(b) # 1*2*3*4 Out[6]: 24
# 2 dimensional array In [5]: c Out[5]: array([[1, 2],
In [7]: np.prod(c, axis=0) # [1*3, 2*4] ↓ Out[7]: array([3, 8])
In [8]: np.prod(c, axis=1) # [1*2, 3*4] → Out[8]: array([ 2, 12])
|
배열 원소 간 합치기 범용 함수 (sum universal functions) : np.sum() |
keepdims=True 옵션을 설정하면 1 차원 배열로 배열 원소 간 합을 반환합니다.
# (1-2-2) np.sum() : Sum of array elements over a given axis
# 1 dimensional array In [3]: b Out[3]: array([1, 2, 3, 4])
In [9]: np.sum(b) # [1+2+3+4] Out[9]: 10
# the axes which are reduced are left in the result as dimensions with size one In [10]: np.sum(b, keepdims=True) Out[10]: array([10]) # 1 dimension array
In [11]: np.sum(b, keepdims=True).shape # 1 dimension array Out[11]: (1,)
|
2차원 배열의 경우 axis=0 을 설정하면 같은 열(column)의 위+아래 원소 값을 더하며, axis=1 을 설정하면 같은 행(row)의 왼쪽+오른쪽 원소 값을 더하여 1차원 배열을 반환
# 2 dimensional array In [5]: c Out[5]: array([[1, 2],
In [12]: np.sum(c, axis=0) # [1+3, 2+4] ↓ Out[12]: array([4, 6])
In [13]: np.sum(c, axis=1) # [1+2, 3+4] → Out[13]: array([3, 7])
|
NaN 이 포함된 배열 원소 간 곱하기 범용 함수 : np.nanprod() |
np.nanprod() 함수는 NaN (Not a Numbers) 을 '1'(one)로 간주하고 배열 원소 간 곱셈을 수행한다.
# (1-2-3) np.nanprod() : Return the product of array elements # over a given axis treating Not a Numbers (NaNs) as ones
In [14]: d = np.array([[1, 2], [3, np.nan]]) In [15]: d Out[15]: array([[ 1., 2.], In [16]: np.nanprod(d, axis=0) # [1*3, 2*1] ↓ Out[16]: array([ 3., 2.]) In [17]: np.nanprod(d, axis=1) # [1*2, 3*1] → Out[17]: array([ 2., 3.])
|
NaN이 포함된 배열 원소 간 더하기 범용 함수 : np.nansum() |
np.nansum() 함수는 NaN (Not a Numbers)을 '0'(zero)으로 간주하고 배열 원소 간 더한다.
In [15]: d Out[15]: array([[ 1., 2.],
# (1-2-4) np.nansum() : Return the sum of array elements # over a given axis treating Not a Numbers (NaNs) as zero In [18]: np.nansum(d, axis=0) # [1+3, 2+0] ↓ Out[18]: array([ 4., 2.])
In [19]: np.nansum(d, axis=1) # [1+2, 3+0] → Out[19]: array([ 3., 3.])
|
배열 원소 간 누적 곱하기 범용 함수 : np.cumprod() |
axis=0 이면 같은 행(column)의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배열 원소들을 누적(cumulative)으로 곱해 나가며, axis=1 이면 같은 열(row)에 있는 배열 원소 간에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누적으로 곱해 나갑니다.
In [20]: e = np.array([1, 2, 3, 4])
In [21]: e Out[21]: array([1, 2, 3, 4])
In [22]: f = np.array([[1, 2, 3], [4, 5, 6]])
In [23]: f Out[23]: array([[1, 2, 3],
# (1-2-5) np.cumprod() : Return the cumulative product of elements along a given axis In [24]: np.cumprod(e) # [1, 1*2, 1*2*3, 1*2*3*4] Out[24]: array([ 1, 2, 6, 24], dtype=int32)
In [25]: np.cumprod(f, axis=0) # [[1, 2, 3], [1*4, 2*5, 3*6]] ↓ Out[25]: array([[ 1, 2, 3],
In [26]: np.cumprod(f, axis=1) # [[1, 1*2, 1*2*3], [4, 4*5, 4*5*6]] → Out[26]: array([[ 1, 2, 6],
|
배열 원소 간 누적 합 구하기 범용 함수 : np.cumsum() |
axis=0 이면 같은 행(column)의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배열 원소들을 누적(cumulative)으로 합해 나가며, axis=1 이면 같은 열(row)에 있는 배열 원소 간에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누적으로 합해 나갑니다.
In [21]: e Out[21]: array([1, 2, 3, 4])
# (1-2-6) np.cumsum(a, axis) : Return the cumulative sum of the elements along a given axis
In [27]: np.cumsum(e) # [1, 1+2, 1+2+3, 1+2+3+4] Out[27]: array([ 1, 3, 6, 10], dtype=int32)
In [23]: f Out[23]: array([[1, 2, 3],
In [28]: np.cumsum(f, axis=0) # [[1, 2, 3], [1+4, 2+5, 3+6]] ↓ Out[28]: array([[1, 2, 3],
In [29]: np.cumsum(f, axis=1) # [[1, 1+2, 1+2+3], [4, 4+5, 4+5+6]] → Out[29]: array([[ 1, 3, 6],
|
배열 원소 간 n차 차분 구하기 : np.diff() |
# (1-2-7) diff(a, n, axis) : Calculate the n-th discrete difference along given axis
In [30]: g = np.array([1, 2, 4, 10, 13, 20])
In [31]: g Out[31]: array([ 1, 2, 4, 10, 13, 20])
# 1차 차분 (1st order differencing) In [32]: np.diff(g) # [2-1, 4-2, 10-4, 13-10, 20-13] Out[32]: array([1, 2, 6, 3, 7])
# 2차 차분 (2nd order differencing) => 1차 차분 결과 Out[32] 를 가지고 한번 더 차분 In [33]: np.diff(g, n=2) # [2-1, 6-2, 3-6, 7-3] <- using Out[32] array (1st order difference) Out[33]: array([ 1, 4, -3, 4])
# 3차 차분 (3rd order differencing) => 2차 차분 결과 Out[33] 을 가지고 한번 더 차분 In [34]: np.diff(g, n=3) # [4-1, -3-4, 4-(-3)] <- using Out[33] array (2nd order diffenence) Out[34]: array([ 3, -7, 7])
|
2차원 배열의 경우 axis=0 이면 같은 열(column)의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차분(difference)을 하며,
axis=1 이면 같은 행(row)의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차분을 합니다.
#---- 2 dimentional arrays
In [35]: h = np.array([[1, 2, 4, 8], [10, 13, 20, 15]])
In [36]: h Out[36]: array([[ 1, 2, 4, 8],
In [37]: np.diff(h, axis=0) # [10-1, 13-2, 20-4, 15-8] ↑ Out[37]: array([[ 9, 11, 16, 7]])
In [38]: np.diff(h, axis=1) # [[2-1, 4-2, 8-4], [13-10, 20-13, 15-20]] ← Out[38]: array([[ 1, 2, 4],
# n=2 이면 1차 차분 결과인 Out[38] 배열에 대해 한번 더 차분
In [39]: np.diff(h, n=2, axis=1) [[2-1, 4-2], [7-3, -5-7]] ← Out[39]: array([[ 1, 2],
|
차분 결과를 1차원 배열(1 dimensional array)로 반환해주는 함수 : ediff1d() |
2차원 배열에 대한 차분인 np.diff(h, axis=1) 의 경우 Out[38] 처럼 2차원 배열을 반환합니다. 반면에 ediff1d(h) 함수를 사용하면 Out[41] 처럼 차분 결과를 1차원 배열로 반환합니다.
# (1-2-8) ediff1d(ary[, to_end, to_begin]) # : The differences between consecutive elements of an array
In [31]: g Out[31]: array([ 1, 2, 4, 10, 13, 20]) In [40]: np.ediff1d(g) Out[40]: array([1, 2, 6, 3, 7])
# 2 dimensional array
In [36]: h Out[36]: array([[ 1, 2, 4, 8],
# The returned array is always 1D In [41]: np.ediff1d(h) Out[41]: array([ 1, 2, 4, 2, 3, 7, -5]) # 1D array, not 2D array
|
np.ediff1d() 함수의 시작부분과 끝 부분의 값을 to_begin, to_end 로 설정해줄 수도 있습니다.
In [42]: np.ediff1d(h, to_begin=np.array([-100, -99]), to_end=np.array([99, 100])) Out[42]: array([-100, -99, 1, 2, 4, 2, 3, 7, -5, 99, 100])
|
기울기(gradient) 구하기 범용 함수 : np.gradient() |
grdient는 1차 편미분한 값들로 구성된 배열이다.
In [31]: g Out[31]: array([ 1, 2, 4, 10, 13, 20])
# [(2-1), {(2-1)+(4-2)}/2, {(4-2)+(10-4)}/2, {(10-4)+(13-10)}/2, {(13-10)+(20-13)}/2, (20-13)] In [43]: np.gradient(g) Out[43]: array([ 1. , 1.5, 4. , 4.5, 5. , 7. ])
# x축 1단위가 '2'이므로 양쪽 옆으로 x축 변화에 따른 y값 변화를 보는 것이므로 2(단위)*2(방향)으로 나누어 줌 # [(2-1)/2, {(2-1)+(4-2)}/2*2, {(4-2)+(10-4)}/2*2, {(10-4)+(13-10)}/2*2, {(13-10)+(20-13)}/2*2, (20-13)/2] In [44]: np.gradient(g, 2) Out[44]: array([ 0.5 , 0.75, 2. , 2.25, 2.5 , 3.5 ]) # Gradient is calculated using N-th order accurate differences at the boundaries # 양 옆에만 2차 차분 : 1 - (1.5 -1) = 0.5, 7 + (7-5) = 9In [45]: np.gradient(g, edge_order=2) Out[45]: array([ 0.5, 1.5, 4. , 4.5, 5. , 9. ]) |
아래는 2차원 배열에 대한 gradient 구하는 예제입니다. np.gradient(h, axis=0)과 np.gradient(h, axis=1)을 짬뽕해 놓은 것이 np.gradient(h) 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gradient 방법은 위의 1차원에서 소개한 방법과 같습니다.
# 2 dimensional array
In [36]: h Out[36]: array([[ 1, 2, 4, 8],
# the first array stands for the gradient in rows and the second one in columns direction In [46]: np.gradient(h) Out[46]: [array([[ 9., 11., 16., 7.], array([[ 1. , 1.5, 3. , 4. ],
In [47]: np.gradient(h, axis=0) # ↑ Out[47]: array([[ 9., 11., 16., 7.],
In [48]: np.gradient(h, axis=1) # ← Out[48]: array([[ 1. , 1.5, 3. , 4. ],
|
출처: https://rfriend.tistory.com/294 [R, Python 분석과 프로그래밍의 친구 (by R Friend)]
출처: https://rfriend.tistory.com/294 [R, Python 분석과 프로그래밍의 친구 (by R Friend)]
출처: https://rfriend.tistory.com/294 [R, Python 분석과 프로그래밍의 친구 (by R Friend)]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폴더 정리 스크립트 (0) | 2023.01.23 |
---|---|
Numpy arrange, zeros, ones, empty (0) | 2022.03.09 |
[파이썬] numpy.dot() (0) | 2021.03.05 |
파이썬 format(), 16진수 변환, hex 값 변환 (0) | 2020.08.03 |
파이썬 디렉토리 생성, 경로를 포함한 폴더생성, 경로생성 (0) | 2020.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