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리눅스기초#리눅스명령어#리눅스 tail#tail#모의해킹 리눅스
- 파이썬#subprocess#communicate()
- 논문번역 꿀팁
- 파이썬 프로젝트
- 파이썬 엑셀 파일 읽고 쓰기
- 파이썬 채팅
- 파이선 행
- 파이썬 #파이썬프로젝트 #파이썬 예시 #파이썬 파일경로 #파이썬 자동화
- 파이썬 텍스트 변환 #파이썬 공부
- 통계 #ROC #TPR #FPR #TNR #이진분류 #Accuracy #Recall
- 리눅스#모의해킹#리눅스명령어#head 명령어
- ROS #spin() #spinOnce() #ROS기초
- 파이썬 음성인식
- 파이썬 예시
- PDF 개행문자
- 크롬오류#크롬검색어자동완성끄기#검색어자동완성오류#검색어자동완성 제거#검색어 노란선#검색어반복입력
- 패스트 캠퍼스 #자율주행 #비전
- pdf 번역
- 파이썬 열
- 파파고 꿀팁
- 파이썬 음성파일 텍스트 변환
- 스트림 암호 one-time-pad 공격#보안#암호
- 파이썬
- 파이썬 유튜브
- 파이썬#파이썬경로#파이썬폴더#파이썬디렉토리
- 파파고 번역
- 파이썬 파일 전송
- QGC#QGrouncControl#GLIB오류
- ROS #Robotics #ROS기초
- 파이썬 #
목록전체 글 (134)
개발자비행일지

파이썬의 Numpy, Tensorflow는 행렬 곱을 빠르게 계산할 수 있도록 함수를 지원한다. 하지만 두 실수의 곱연산과 달리 matrix의 곱연산은 교환법칙(commutative law)가 성립하지 않는다. 즉, 편리한 함수를 사용하더라도 인자(argument)의 순서를 틀리면 잘못된 결과를 얻게된다. 본 포스트에서는 Python에서 흔히 사용되는 행렬 곱연산에 대하여 간단한 설명 및 예제를 정리해 보자 . 아래의 표는 Python으로 가능한 행렬 연산을 정리한 것이며, 계산할 때는 bold체로 표시된 함수를 사용한다. Function Matrix shape Description numpy * operator (n,m) (n,m) = (n,m) element-wise numpy.dot (n,p) (p..

이 글도 find 글과 마찬가지로 아래 블로그에서 잘 작성된 글을 학습 및 복습 차원에서 작성하는 글이다. 아래 블로그에 가면 유익한 자료들이 많이 존재한다. https://recipes4dev.tistory.com/157?category=768818 1. grep 명령어. grep은 입력으로 전달된 파일의 내용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고자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이죠. 하지만 grep 명령어가 문자열을 찾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해서, 단순히 문자열이 일치하는지 여부만을 검사하는 것은 아닙니다. 문자열이 같은지(equal)만을 검사하는 수준을 넘어, 훨씬 복잡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그리고 매우 효율적으로 문자열을 찾는 기능을 제공하죠. 이는 grep이 파일의 ..

리눅스 find는 모의 해킹시 자주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이다. 이 글은 아래의 블로그에 잘 정리 되어 있어서, 참고 및 개인 학습내용 복습을 위해 작성한다. https://recipes4dev.tistory.com/156 1. find 명령어. find는 리눅스에서 파일 및 디렉토리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명령입니다. 이름 그대로 리눅스에서 접근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 및 디렉토리를 "찾는(find)" 것이죠. 그런데 리눅스 파일 시스템은 구조가 아주 복잡합니다. 아주 많은 수의 파일과 디렉토리가 저장되어 있죠. 이 중에는, 비슷한 이름의 파일과 동일한 확장자를 가진 파일, 그리고 종류가 다양한 파일들이 존재합니다. 이에 따라, 복잡한 구조에서 원하는 파일을 가능한 정확히 찾을 수 있도록, fi..
파이썬 딕셔너리 변수에 적용가능한 함수에 대해 알아보자. https://blog.naver.com/sw4r/221504100256 키(key) 뽑아 내기앞에서도 다루었듯이, 기본적으로 딕셔너리는 키와 값의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타입이다. 그런데 가끔씩 키(key)만 뽑아 내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 때에는 .keys() 라는 함수를 사용해서 키만 뽑아 낼 수 있다. 아래와 같이 dic1 이라는 딕셔너리를 먼저 정의하고, 해당 object에 .keys() 라는 함수를 적용시켜 보자. 그랬더니, 앞에서 정의된 키-값에서 키에 해당하는 내용들만 따로 리스트로 담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순서가 또 엉망이다. 그래서 궁금해서, 그냥 dic1 객체는 어떤 순서로 되는지 확인해보았다. 최소한 이것과 ..